[Java] - 함수형 인터페이스
서론
Effective Java 3/E를 공부하면서 Item5에 Supplier
라는 것을 처음 보았다.
이 부분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 늦게나마 스터디하는 팀원분들께 여쭤보았는데 내용이 흥미로워서 정리해본다!
함수형 프로그래밍
자료 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 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하나이다.
Java 8부터 이러한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package java.util.function;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Supplier<T> {
T get();
}
위 코드와 같이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FunctionalInterface
어노테이션을 지니고 있으며, 패키지를 들여다보면 정말 많은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람다식
우선,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람다식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다.
람다식이란, 함수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이며, 메소드의 이름이 없어 익명 함수에 포함된다.
이렇게 글로 작성하면 잘 이해가 가지 않기 때문에 코드로 보면서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우리는 보통 아래와 같이 함수를 작성하고, 이를 계속해서 재사용한다.
public String concat(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 + s2;
}
하지만 람다식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s1, s2) -> s1 + s2);
기존 함수에 비해 불필요한 코드도 줄어들고, 함수의 이름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급 객체
사용하긴 편해보이지만, 함수명도 없고, 어떤 방식으로 호출해야하는지 감도 안 잡히는데 그냥 함수 쓰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겠지만, 우리가 계속 명령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사용했기 때문에 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이 많이 생소한 것이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일급 객체이기 때문이다.
- 변수 혹은 다른 자료구조 안에 담을 수 있다.
- 파라미터로 전달할 수 있다.
-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할당에 사용된 이름과 무관하게 고유한 구별이 가능하다.
일반 함수라면 아래와 같이 사용할 것이다.
public String print(String s) {
System.out.println(s);
}
하지만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변환이 가능하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Functional<T> {
void print(T t);
}
@Test
void eachTest() {
Functional<String> functional = (String t) -> {
System.out.println(t);
};
functional.print("Hello World!");
}
이와 같은 코드로 실행하면 Hello World!
가 출력될 것이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는 메소드를 호출하면 상황에 따라 내부의 값이 바뀔 수 있다. 즉, 우리가 개발한 함수 내에서 선언된 변수의 메모리에 할당된 값이 바뀌는 등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대입문이 없기 때문에 메모리에 한 번 할당된 값은 새로운 값으로 변할 수 없다.
출처 : 망나니 개발자님 -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이란?
함수형 인터페이스
자바에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 네이밍이 존재한다.
인터페이스명 | 매개변수 여부 | 리턴타입 여부 | 설명 |
---|---|---|---|
Supplier |
N | T | 공급자 |
Consumer |
T | N | 소비자 |
Predicate |
T(boolean) | T | 단정 |
Function<T, R> | T | R | 함수 |
Supplier
공급자의 개념으로 특정 값을 만들어 반환해줌
Set
의 경우 저장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Set
내부에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찾는 일이 많지 않겠지만, Supplier
를 통해 특정 데이터가 저장된 순서를 찾는 코드를 만들어보자!
public class FunctionalTest {
@Test
void supplierTest() {
// 문자열 Set 생성
Set<String> stringSet = new HashSet<>();
// Set에 string 1 ~ string 100까지 저장
for (int i = 1; i <= 100; i++) {
stringSet.add("string " + i);
}
// 함수 팩토리에 구현한 findIdx를 통해 "string 20"이 저장된 위치를 찾음
// findIdx(set, data)
final int idx = CustomFunctionalFactory.findIdx(stringSet, () -> "string 20");
// 실제 저장된 위치가 맞는지 확인
int i = 0;
for (String s : stringSet) {
if (i == idx) {
assertTrue("string 20".equals(s));
}
i++;
}
}
}
public class CustomFunctionalFactory {
/** Set에 포함된 특정 값의 저장 순서를 반환하는 함수
* @param set 특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탐색할 Set
* @param supplier 전달받은 "string 20"이 들어있음
* @return 특정 데이터가 저장된 순서 반환, 데이터가 없을 경우 -1 반환
* @param <T> 매개변수로 제네릭 타입을 받기 위함
*/
public static <T> int findIdx(Set<T> set, Supplier<T> supplier) {
int i = 0;
// 넘겨 받은 set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회하면서 "string 20"의 저장 순서 탐색
for (T t : set) {
if (t.equals(supplier.get())) {
// 순서 반환
return i;
}
i++;
}
return -1;
}
}
Supplier(공급자)는 이름과 같이 값을 만들어서 반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Consumer
소비자의 개념으로 주어진 값을 소비함
public class FunctionalTest {
@Test
void consumerFunctionalTest() {
// 문자열 리스트 생성
List<String> stringList = new ArrayList<>();
// string 1 ~ 100까지 리스트에 저장
for (int i = 1; i <= 100; i++) {
stringList.add("string " + i);
}
// 함수 팩토리에 리스트와 주어진 리스트로 처리할 기능을 넘겨줌 -> 1 ~ 100까지 출력
CustomFunctionalFactory.forEachRemaining(stringList, (item) -> System.out.println(item));
}
}
public class CustomFunctionalFactory {
/** List에 남아있는 값에 대해서 무언가를 처리하는 메소드
* @param list forEach를 돌 리스트
* @param consumer forEach를 돌면서 수행할 일
* @param <T> 매개변수로 제네릭 타입을 받기 위함
*/
public static <T> void forEachRemaining(List<T> list, Consumer<T> consumer) {
for (T t : list) {
consumer.accept(t);
}
}
}
Consumer(소비자)는 이름과 같이 특정 데이터를 가지고 무언가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Predicate
단정짓다라는 개념으로 주어진 값을 토대로 옳고, 그름을 판단함
public class FunctionalTest {
@Test
void predicateFunctionalTest() {
// 문자열 리스트 생성
List<String> stringList = new ArrayList<>();
// string 1 ~ 100까지 리스트에 저장
for (int i = 1; i <= 100; i++) {
stringList.add("string " + i);
}
// 함수 팩토리에 리스트와 해당 리스트에서 걸러줄 조건식을 넘겨줌 -> 1이 포함된 데이터만 돌려 받음
final List<String> filteredList = CustomFunctionalFactory
.filter(stringList, (item) -> item.contains("1"));
// 1이 포함된 데이터만 출력
for (String s : filteredList) {
System.out.println(s);
}
}
}
public class CustomFunctionalFactory {
/** 주어진 리스트에서 조건식에 맞는 데이터만 새로운 리스트에 담아서 반환하는 메소드
* @param list 기존 데이터 리스트
* @param predicate 리스트에서 검사할 조건식
* @return 조건식을 통해 걸러진 데이터 리스트
* @param <T> 매개변수로 제네릭 타입을 받기 위함
*/
public static <T> List<T> filter(List<T> list, Predicate<T> predicate) {
// 조건식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담을 새로운 리스트
List<T> result = new ArrayList<>();
// 기존 데이터 리스트 순회
for (T item : list) {
// 주어진 조건식에 맞을 경우 결과 리스트에 추가
if (predicate.test(item)) {
result.add(item);
}
}
// 결과 리스트 반환
return result;
}
}
Predicate(단정짓다)라는 이름과 같이 기존 데이터 중 조건식에 맞는 데이터만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황에 따라 어떤 조건식으로든 교체할 수 있어 굉장히 유연하다.
Functional
public class FunctionalTest {
@Test
void functionFunctionalTest() {
// 문자열 리스트 생성
List<String> stringList = new ArrayList<>();
// string 1 ~ 100까지 리스트에 저장
for (int i = 1; i <= 100; i++) {
stringList.add("string " + i);
}
// 함수 팩토리에 리스트와 mapping할 값을 넘겨줌 -> 모든 데이터 뒤에 "^_^"가 붙은 값을 반환함
final List<String> filteredList = CustomFunctionalFactory
.map(stringList, (item) -> item.concat("^_^"));
// 기존 데이터에 "^_^"가 붙은 값들 출력
for (String s : filteredList) {
System.out.println(s);
}
}
}
public class CustomFunctionalFactory {
/** 주어진 리스트에서 특정 함수를 전달 받고, 해당 함수를 적용하는 함수
* @param list 기존 데이터 리스트
* @param function 리스트를 순회하면서 실행할 함수
* @return 함수대로 진행한 결과 리스트 반환
* @param <T> 기존 함수의 데이터 타입
* @param <R> 반환할 리스트의 데이터 타입(주어진 함수의 반환타입 ex) item.concat() -> String 타입)
*/
public static <T, R> List<R> map(List<T> list, Function<T, R> function) {
// 조건식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담을 새로운 리스트
List<T> result = new ArrayList<>();
// 기존 데이터 리스트 순회
for (T item : list) {
// 전달 받은 함수에 기존 데이터 요소를 넣고, 결과 배열에 추가
result.add(function.apply(item));
}
// 결과 리스트 반환
return result;
}
}
Function(함수)라는 이름과 같이 기존 데이터를 순회하면서 각 요소를 전달 받은 함수를 적용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은 Repository
에서 바로 Dto
에 매핑하지만, 가끔 아래 코드처럼 전체 데이터를 뽑아서 Dto
로 변환해 list
로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Function<T, R>
에 대입해서 보면, <T>
는 Post.class
를 의미하고, <R>
은 Post::of
의 반환 타입인 PostDto.class
를 의미한다.
public class Post {
...
public PostDto of() {
return new PostDto(...);
}
}
public class PostService {
public List<PostDto> findAllPostDto() {
List<PostDto> postDtoList = postRepository.findAll().stream()
.map(Post::of)
.toList();
}
}
정리
함수형에 대해서 더 공부해야겠지만, 각각의 네이밍이 무엇을 뜻하는지 정도는 확실히 감을 잡은 것 같다. 나중에 꼭 모던 자바 인 액션을 통해 더 깊게 공부해봐야겠다!
댓글남기기